이토 히로부미 암살과 한일 병합에 반대했던 정치 인생.정한론과 메이지 6년 정변
2020-05-09
카테고리:한일 병합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한반도를 독립시킨 이토 히로부미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사살되었습니다.이토(伊藤)는 한반도 병합에 대해 시종일관 반대 입장이었습니다.청일전쟁강화조약(시모노세키조약 제1조)에서 한반도의 독립을 명기하고 청나라에 약속을 하게 한 것은 이토 히로부미입니다.
총리직은 1901년 퇴임.한국통감도 1909년 6월 퇴임했고 마지막 직책은 추밀원 의장입니다.의장직이란 명예직이긴 하지만 중립성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기도 하고 정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총리도 아니고 통감도 아닌 의장이 암살된 것입니다 .
MEMO 암살 당시 이토 히로부미는 정치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는 명예직이라는 입장에 있었습니다.
정한론을 저지한 메이지 6년 정변
거슬러 올라가는 것 1873년에 일본에서 일어난 #ylow #정한론을 저지한 것도 이토 히로부미입니다 .당시에는 아직 이토(伊藤)는 젊고 32세였습니다.이는 메이지 6년 정변이라고 불리며 천황 폐하의 정한론 폐지 칙명이 내려지게 되어 사이고 다카모리를 비롯한 참의의 절반이 사직하고 군인, 관료 600여 명이 사직하게 됩니다.
여기서 메이지유신의 일등공신이었던 사쓰마번은 정치무대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브로닝 총의 수수께끼
불분명한 것은 안중근이 무슨 목적으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살해했는가 하는 것입니다.살해라고 해도 안중근이 가지고 있던 권총 브로닝총 탄환은 이토의 체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안중근은 이토의 얼굴을 몰랐다고 증언했고 자서전에도 분명히 썼다.이토 히로부미는 정치적 요직에서 물러나 있었기 때문에 살해가 일본 정부에 미치는 영향이나 효과는 전혀 없었습니다.
MEMO 1909년 7월 6일 가쓰라 내각은 '적당한 시기에 한국병합을 단행할 방침 및 대한시설 대강령'을 각의 결정했습니다.이토 히로부미 #ylow #암살 전 병합은 결정되었고 #/ylow #, 1901년 이토가 총리대신직을 사임한 것은 한반도의 유화정책을 비판받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아울러 읽고 싶다
이토 히로부미 암살의 수수께끼 - 안중근의 배후에 누가 있었나?발견되지 않은 블로닝 총의 총탄.
암살 전 한일병합은 각의결정
7발 장전된 총에서 13발이 발사?
기병총 탄환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러시아는 이토의 방문을 환영
러일의 혼란은 로마노프의 실수?
사라예보 사건에서도 사용된 총
공통점은 2점밖에 없다
이토의 얼굴을 몰랐던 안중근
이토의 눈앞까지 홀로 다가온 이유는
이토 히로부미 암살은 한일 병합을 앞당겼다는 얘기를 듣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분명히 다를 것이다.이유는 1901년에 이토는 러시아 이권의 남하를 책임지고 총리대신직을 사임한 바 있다.가쓰라 내각에서 한일병합에 대한 방침을 밝힌 '적당한 시기에 한국병합 단행 방침 및 대한시설 대강령'의 각의 결정은 암살 전인 7월로 되어 있다.이에 따라 7월 이토(伊藤)는 한국통감을 은퇴했다.이토(伊藤)의 암살은 같은 해 10월 26일이다.
안중근의 브로닝 총탄은 이토의 체내에서 발견되지 않았다.사건으로 인해 발포된 총탄은 13발.피탄자는 다음과 같다.
이토 히로부미 3발, 무로다 요시후미 5발, 나카무라 고레코 2발, 모리 타이지로 1발, 카와카미토시히코 1발, 다나카 신지로 1발.
브로닝 총은 7발 장전된 총이다.이토(伊藤)의 체내에서는 프랑스제 기병총 2탄이 발견되어 1발은 관통하고 있었다.안중근이 이토를 잘못 쳤을 때 작전을 보완하기 위해 하얼핑역 지붕, 2층 부분 등에서 저격하고 있다.왜 2층 부분이냐면 사법해부에 의한 탄도를 봐도 오른쪽 어깨에서 배꼽을 향해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
안중근에 의한 충동적 단독범이 아니라면 주모자는 누구냐는 얘기다.
일본 내부의 정치항쟁이 원인이라는 설은 서두의 이유에서 있을 수 없다.일본 내에서는 정치적 매듭도 절차도 이미 붙어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이토의 방문을 환영한다.
러시아설은 러시아의 이점으로 볼 때 생각하기 어렵다.이토(伊藤)의 목적은 러시아의 복권을 돕기 위한 무역협정을 맺는 것이었다고 한다.꼬꼬꼬댁을 만나러 하얼핀에 갔고 꼬꼬댁도 대환영했다.
애초 러일개전을 목적으로 한다면 정치적 실권이 없는 이토를 암살하는 것은 빗나간 일이다.그리고 러일전쟁이 끝난 지 불과 4년 만에 다시 개전 등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얘기다.
레닌설이라는 게 있어.논거는 다음과 같다.레닌은 로마노프의 추문을 긁어 모으고 있었다.러일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는 레닌에게 큰 계기가 됐다.로마노프 왕조의 대실수로 러시아 국내에 대량의 전단을 살포하고 있다.
제1차 대전의 계기가 된 오스트리아 대공 암살(사라예보 사건)에도 브로닝 총이 사용됐다.브로닝 총은 러시아 육군이 채용하는 총이다.그리고 레닌은 브로닝총을 긁어모으고 있었다 .
이 설에서의 공통점은 브로닝총과 로마노프의 범행으로 가장할 수 있다는 것뿐이다.코민테른의 전략은 스스로 싸우지 않고 사회를 선동하는 것이 상투수단이기도 하다.다른 나라끼리 전쟁을 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러일전쟁 종결이 1905년, 이토 암살이 1909년, 사라예보 사건이 1914년이다.그리고 러시아 혁명은 1917년.제1차 세계대전 중 혁명을 완수하고 있다.
이토 히로부미 암살에 대해 주모자는 수수께끼 속이다.다른 각도에서 보면 현장에 남은 것은 안중근과 브로닝총뿐이었다.
안중근은 이토의 얼굴을 모른다. 진술에서도 그렇게 말하고 자서전에도 분명히 그 자신이 쓰고 있다.암살은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그 장소에는 이토 이외에도 동행한 일본인도 여럿 있었고 러시아인도 있었다.애초부터 기병총을 든 저격수들은 준비를 했고 예정대로 사격을 했다 .
안중근이 이토의 눈앞까지 갈 필요성은 있었을까.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안중근에게 주변의 주의를 끌고 멀리서 저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리고 현장에는 안중근과 브로닝 총만 남게 된다.
그는 도대체 무엇을 목적으로 한반도의 무엇을 바꿨을까요?그는 여순으로 재판을 받았고 암살 이유 진술로 15가지 이유를 열거하고 있습니다.이토와 관련이 있는 항목이나 전혀 관련이 없는 항목도 많이 있습니다.그의 죄명은 살인죄입니다.
POINT 안사근이 사용한 브로닝 총은 7발 장전.현장검증에서는 13발의총탄 가 발견되었습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한일 병합기에 세워진 명동예술극장.당시의 이름이 메이지좌라는 것을 한국인들은 많이 알지 못한다
명동예술극장은 메이지마치에 있던 메이지좌 이다.메이지초는 현재의 명동이 되었고 메이지좌에서는 많은 영화와 연극이 개봉되었다.
1937년 4월 24일에는 세이미네 영화각과 신흥 키네마가 합작해 이규환(한국어판)과 스즈키 시게요시가 공동 감독한 한국어로 된 첫 토키 나그네(한국어판)(일본 개봉작 여정)가 이 관에서 개봉했다.
동관에서는 일본어판 상영이었지만, 같은 날, 부내의 우미관에서는 한국어판이 공개되고 있다.국내 영화사가 제작한 영화의 개봉관 역할도 하며 1940년 8월 6일 고려영화협회가 제작한 영화 등록금(감독 최인규), 1941년 2월 19일 동아영화사가 제작한 영화 지원병(감독 안석영)이 이 관에서 개봉했다.
노예가 영화를 보는 것일까.봤다면 이미 노예는 아닐 것이다.그래도 노예가 됐다면 일본은 일부러 노예를 위해 영화를 공동 제작해 보여줬을까.
그래도 이미 대우가 노예가 아니다. 노예가 휴일에 영화보러간다 . 휴일이 있는가.신기하다。
당시 한국인 영화감독이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은 상당히 과거에 영화를 보고 있는 셈이다.왜 노예가 영화를 찍을 때까지 영화를 보고 공부할 수 있었을까.아니면 일본 영화사에라도 취직했을까.
일본통치시대 한반도는 근대화되고 나라가 날로 풍요로워지는 것을 실감하는 시대였습니다.
조선을 독립국으로 취급한 북일 수호조규 천황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는 이 시대부터 변함이 없다
1876년 체결된 북일수호조규는 불평등조약이라는 측면이 있으나 조선을 독립국으로 한 최초의 조약으로 조선왕조 개국의 계기가 되었다.강화도 조약라고도 불린다.북-일 간에는 에도시대에는 조선통신사에 의한 국교가 있었지만 메이지유신 이후에는 메이지천황의 국서를 조선은 받지 않았다.
이유는 도쿠가와와는 대등한 관계였는데도 도쿠가와를 신하로 하는 천황의 존재는 조선왕조를 격하에 위치시키는 라는 이유나 종주국 청나라 황제에 대해 천황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여기서 북-일은 단교 상태가 된다.
지금도 한국은 천황을 일왕이라고 부릅니다.천황의 칭호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이 시대에 변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1875년 일어난 북-일 간 무력충돌인 강화도 사건을 거치면서 일본은 사죄 요구 등을 포함해 청나라에 대해서는 종주국이라면 책임지라고 요구한다.이에 대해 청은 조선은 속국이지만 다른 민족, 다른 정치형태를 갖고 있으며 청은 책임이 없다 라고 밝히고 있다.이를 바탕으로 북-일 수호조규 제1관에는 '조선은 자주의 나라이며, 일본과 평등의 권리를 가진 국가로 인정한다.'고 기재되게 된다.
청나라의 속국이기는 하지만 독립국가로서 다소 모순되는 점을 포함하면서 양자 국교가 시작된다.이후 1894년 발발하는 청일전쟁을 거쳐 1895년 시모노세키조약에 '청국은 조선국이 완전무결한 독립자주의 나라임을 확인하고 독립자주를 손해보는 조선국으로부터 청국에 대한 공·헌상·전례 등은 영원히 폐지한다.'고 기재되어 명실상부한 조선은 독립국이 되었다.이 조약을 체결한 일본 측 책임자가 이토 히로부미이다.
조선은 수백 년래 독립국이 아니었습니다.독립국으로 만든 것은 바로 일본입니다.
이토 히로부미는 한국병합 반대파이자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을 저지한 메이지 6년 정변 이토 히로부미 탄생 (1841년)
메이지 6년 정변(1873년) 이토오히로부미(32세)
정원구성원(국가의사결정기관)
정한론파 사이고오타카모리 에토오신히라이타가키테이스케 고토오쇼오지로 후지마타네오미
비정론파 산죠오미 이와쿠라구시 키도타카노스케 오오쿠보토시미치 오쿠마시게노부 오키타쿠토
당연하지만, 이토(伊藤)는 아직 젊고 정원의 멤버가 아니다.
이토 히로부미는 1870년부터 발족한 「공부성」의 설치에 진력.공부성은 1871년 철도 조선 광산 제철 전신 등대 제작 공학 권공 토목 등 10개 기숙사와 측량 1개 업체로 편성됐다.
산조 미타마사 대신이 병에 걸렸을 때 정한론에 반대했던 이토의 이와쿠라를 의장으로 하는 아이디어로 정한론은 실패로 끝나고 사이고 다카모리를 비롯한 600명의 사쓰마 번사는 정치세계에서 물러나게 된다.
강화도 사건(1875년) 이토오히로부미(34세)
측량이나 항로 연구를 명목으로 한반도에 군함을 파견해 군사적 위압을 가하는 방안에 대해 태정대신 산조 미나미는 이를 비판했다.그러나 해군 다이스케 가와무라 준요시의 건의에 따라 『운양』, 『제2정묘』 등 2척의 군함이 조선 연안에 극비리에 파견된다.강화도 사건의 발단이 된 운양의 함장은 사쓰마 번 출신 이노우에 요시카루이다.
이토 히로부미가 강화도 사건을 지시했다는 오해가 있는 듯하지만 일련의 흐름을 봐도 어디에도 이토의 글씨가 없다.철도를 만들면서 전함을 지시하겠다는 꿈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토(伊藤)가 이와쿠라(岩倉)와 오쿠보(大久保)의 신용을 얻게 된 것은 메이지 6 년의 정변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반도에 뿌리내린 노비 제도일제 치하에 처음으로 신분 제도가 철폐되었다 노비제도는 농경문화와 관련이 깊다.중국에서는 진린산맥, 화이강을 잇는 선의 남쪽이 연간 강우량이 1000mm 이상. 북쪽이 1000mm 미만이고 남쪽이 벼농사 문화, 북쪽이 밭농사 문화이다.
밭농사는 단순히 효율성이 나빠 노비 수요가 많았다. 그래서 북쪽에서는 노비를 많이 사용하였다.범죄를 저지른 인간을 노비로 만들거나 빚 대신 노비로 바꿔 양산했다.
일본은 중국 남부에서 벼농사가 전래되었기 때문에 벼농사 문화가 되었고, 한반도에는 중국 북부에서 밭농사가 전해졌다.밭농사의 노동력으로 노비는 재산으로 매매되었다.
노비 5명에게 소 1마리로 매매되었다.남조선반도에서는 벼농사가 이루어졌으나 직파 재배로 모내기를 하게 된 것은 이씨 조선 말기부터이다.
15~17세기에는 조선 시대 인구의 30~40%가 노비였다.1609년 울산 호적 자료에 따르면 47%가 노비였다.1606년 경상남도 산청은 64%가 노비였다. 노비의 규모는 한국 지역에서는 50% 규모 였다.
국제적으로 인종차별을 철폐하려는 시도는 1919년 일본 대표단이 국제연맹 파리회의에서 한 제안이 처음이다.
이는 미국의 맹반발로 가결되지 않았다.국제적 인종차별 철폐는 1969년 발행된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조약이 처음이다.
일본의 노비 제도는 율령제 붕괴를 거쳐 10세기 초 헤이안 시대 중기에 노비 폐지령 가 내려졌다.그러나 현실적으로 인신매매는 근절되지 않았고 에도 막부는 1612년, 1619년, 1683년에 자주 금지령을 내려 엄단했다.
중국에서는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애신각라의에 의해 법적으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미국의 노예해방선언은 1863년 발포됐지만 합중국으로서 인종차별을 불법으로 규정한 것은 1964년 짐 크로우법의 철폐를 기다리는 것이다.
한반도에서는 1894년 갑오개혁으로 노비, 백정제도가 법적으로 폐지되었으나 갑신정변의 실패로 실상은 변하지 않았다.
일본으로 망명해 일본형 근대화를 목표로 상하이에서 암살된 김옥균은 조선 사회의 봉건적 신분제도야말로 불평등의 근원이며 국가 부패, 쇠퇴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한일병합과 호적제도의 도입으로 호적에 신분기재를 폐지하였다. 인간으로 간주되지 않았던 성을 기다리지 않는 노비에게 성을 주었다.이로써 아이들은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됐다.
신분 해방에 반발하는 양반들은 격렬한 항의 시위를 벌였으나 신분을 불문하고 교육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일본 정부에 의해 즉각 진압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인종차별 철폐를 호소한 곳은 일본이었습니다.그리고 노예제도는 10세기초에 없어졌습니다.
러시아의 아시아 식민지 계획은 시베리아 철도를 보면 분명하다
러시아의 진출을 배경으로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육로로부터의 아시아 식민지 계획입니다.
1850년 시베리아 철도 계획이 시작되었다.
1884년 러-조 수호통상조약··청일전쟁 개전 다음날 러시아와 조선이 조약 체결.
1885년 러-조 밀약사건··일본, 청-영국을 견제할 목적으로 맺으려 한 밀약.첫 번째는 이홍장, 두 번째는 원세개에게 발각돼 실패.
1888년 러-북 육로통상조약...러시아인을 한반도 100리까지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도록 하였다.
1890년 시베리아 철도가 우랄 강을 넘는 다리가 완성.
1896년 러시아는 청으로부터 만주의 북부를 횡단해, 하얼빈등을 경유하는 동청 철도의 부설권을 취득(러청 밀약).
1897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바롭스크까지의 철도, 우수리선 완성
1898년 뤼순·다롄 조차·중국 뤼순·다롄을 러시아가 조차.요동반도가 러시아로 넘어가다.
1900년 마산포 조차...경상남도 마산포(현재의 창원시)를 러시아가 조차.
1900년 만주·한반도 교환론·만주의 이권을 일본이 러시아에 인정함과 동시에 한반도에서 러시아가 손을 떼자는 협상(러시아는 묵살)
1900년 북청사변··의화단의 난을 평정할 목적으로 러시아가 만주로 진군, 평정 후에도 퇴거하지 않고 눌러앉는다.
1902년··일·영 동맹
1903년 용암포 사건...러시아군이 압록강 하구(현재 북한) 용암포에 군사거점을 건축
1903년 러청 밀약에 의한 동청 철도 완성.
1904년 발틱 함대가 블라디보스토크를 향해 출항.
1904년 바이칼 호수 개통으로 시베리아 철도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
1905년 일본해해전에서 발틱 함대가 괴멸하여 종전.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일본이 한반도 외교권 박탈, 보호국화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암살
1910년 한일 병합